KR-BRV-250700010
진드기 없이 산책하면서 행복한 강아지
강아지를 감염시키는 참진드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작은소참진드기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사람에게는 최대 20%의 치사율을 보이며, 고양이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바베시아증
감염된 진드기를 통해 바베시아 원충이 체내에 들어갑니다. 고열, 식욕 저하, 호흡 증가, 빈혈, 황달 등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반드시 예방이 필요합니다.

라임병
진드기의 흡혈로 감염되며, 고열과 관절 부종, 림프절 비대 등을 유발합니다. 방치할 경우 신장, 심장, 신경계까지 손상될 수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진드기에 감염되어 치료받는 강아지

피부에 터널을 파고 들어가 알을 낳으며, 전염성이 매우 강합니다. 감염되면 심한 가려움, 탈모, 피부염이 나타나고 사람이나 다른 동물에게도 쉽게 전파됩니다.

건강한 피부에도 존재하지만, 면역력이 약해지면 급격히 증식합니다. 주로 모낭과 땀샘에 기생하며,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외이도에 기생하면서 가려움과 염증을 유발합니다. 심한 경우 고막 손상과 중이염으로 악화할 수 있으며 감염된 강아지는 머리를 자주 흔들거나 귀를 긁는 행동을 보입니다.

경구제(먹는 약)인지, 외용제(바르는 약)인지, 언제, 어떻게 투여해야 하는지 투여 시기와 간격을 정확히 숙지하고 일정에 맞춰 관리해야 효과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귀진드기에 감염된 강아지
  1. 강아지의 털과 피부를 주기적으로 살펴봐야 합니다.
  2. 털을 손으로 쓸어올리면 벼룩이 튀거나 움직이는 걸 볼 수 있으며, 크기는 2~4mm로 매우 작습니다.
  3. 검은 점처럼 보이는 게 있다면, 젖은 화장지로 닦아보세요. 붉게 번지면 벼룩의 분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4. 벼룩이 의심된다면, 감염 범위가 더 넓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병원 진료를 받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벼룩 제거중인 강아지 주인과 강아지
강아지용 브라벡토의 구충 범위와 종류